우리나라는 중학교, 고등학교 까지 영어공부를 6년동안 합니다. 요즘에는 초등학교 때 부터 하기도 하고 좀더 일찍 공부를 시키는 부모님들은 취학하기 전부터 영어를 가르키게 됩니다. 한국어 다음에 거의 필수 외국어로 설정이 되어 있음에도 잘하는 사람들은 잘하지만 못하는 사람은 저 포함해서 훨씬 많죠.
그럼에도 외국 사이트에 접속하는건 문제가 없습니다. 심지어 일본어나 독일어도 문제가 없어요. 이유는 구글 페이지 번역 기능을 활용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크롬 브라우저가 있으면 보다 쉽게 접근을 하실 수가 있으시겠죠. 오늘은 크롬을 이용한 외국어 사이트 페이지 변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우리나라에서는 사업을 접은 야후가 일본에서는 메인포털로 자리 잡혀 있습니다. 얼마전까지 야후경매를 통해 물건을 사기도 했었는데요.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일본어를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일본어 히라가나 정도 읽을 수 있을뿐 저는 거의 모르는데요.
이때 구글 페이지 번역 을 사용하시게 되면 간단하게 한국어로 번역이 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번역 페이지를 보실때 우측 상단에 있는 저 표시를 클릭을 하시면 되십니다.
주소입력창에 있는 부분을 클릭을 하셔도 되고 빈공간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게 되면 나오는 창에서 한국어(으)로 번역(T) 를 클릭을 하셔도 구글 페이지 번역을 사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럼 다음 화면에서 번역이 어떻게 되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식으로 이미지 부분에 있는 글자 빼고는 텍스트 들은 전부 한국어로 번역이 됩니다. 가끔 번역하지 말아야 하는 부분들도 번역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시스템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위 내용을 보시게 되면 "급한 손님도 당황하지 않는다." 라는 말도 안되는 문구가 있습니다. 완벽하게 번역은 되지 않는다는 것이죠 ^^; 하지만 문맥상으로 이정도면 충분히 이용을 하실 수 있을거 같습니다.
우측 상단에서 보이는 아이콘을 클릭을 하시게 되면 페이지 번역 의 옵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해당 페이지 뿐 아니라 기본적으로 구글 크롬 브라우저 를 이용을 할때 자동으로 번역을 할건지 혹은 특정 언어로 되어 있는 페이지만 사용을 할 건지에 대한 설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이때 원본보기를 누르시면 원본 페이지로 돌아가게 되고 옵션 을 클릭을 하시게 되면 쭈~욱 진행을 하실 수 있게 되십니다.
기본적으로 페이지 언어가 일본어 이고 번역 언어는 당연히(?) 한국어 입니다. 이부분에서 항상 번역을 클릭을 하시게 되면 이후에 일본어로 만들어진 페이지에 접속을 하시게 되면 항상 구글 페이지 번역 이 실행이 되게 됩니다.
일본어 페이지는 접속 즉시 한국어로 번역이 되는 것이죠. 언어 설정으로 이동을 하셔서 언어 부분에 대한 추가 옵션을 설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언어에 대한 맞춤법 검사 등을 하게 되고 번역 옵션을 적용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래쪽에 추가 버튼을 눌러서 일본어 등을 불러오시게 되면 사용을 하실 수 있을거 같네요. 하지만 이부분은 굳이 설정을 하지 않으셔도 페이지에서 한국어로 번역을 하는 것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습니다.
그럼 크롬에서 외국어를 한국어로 번역을 하여 페이지를 보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용방법은 간단하니 한번 보시면 다 아실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