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7월 입니다. 2016년 하반기에 들어서게 되었네요. 휴가계획들은 다들 세우셨나요? 해외로 나가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이 있을거 같아요. 저더 해외에 나가고 싶지만 올해는 좀 무리고 내년에는 가볼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해외에 나가실때에는 환전을 하고 가셔야 하는데요.
은행별 환전수수료 가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각각의 은행의 수수료는 얼마가 되는지 알아볼 수 있고 비교를 해보실 수 있을거 같습니다. 역시 방법은 간단합니다.
은행마다 환전 가능 금액이나 수수료가 모두 다르다 보니 단순 비교를 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데요. 사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주거래 은행에서 환전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을거 같습니다. 요즘에는 위비뱅크나 써니뱅크 등에서 최대 90% 수수료 할인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기본적으로 은행별 환전수수료 비교를 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전국은행연합회 라는 사이트로 이동을 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전국은행연합회 홈페이지로 이동을 하셨다면 상단에 은행연 소개 와 은행업무정보 라는 다양한 메뉴들을 보시게 될겁니다. 우리는 은행업무정보로 이동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은행업무정보로 이동을 하시게 되면 환전 관련된 메뉴를 찾아야 하는데요. 그런데 환전이라는 단어는 전혀 보이지가 않고 있네요. 좌측에 은행수수료비교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확인하신다면 아래쪽에 외환수수료 및 스프레드 라는 메뉴를 보시게 될겁니다.
외환수수료 및 스프레드를 클릭하시면 우측에 외환수수료 라는 부분이 보입니다. 그리고 아래쪽에는 해외로 외화송금수수료 부터 외화현찰 수수료 등으로 나눠지는 메뉴들을 볼 수 있으시게될겁니다.
이런 방식으로 국내에 있는 은행들을 선택을 하셔서 비교를 원하는 은행별 환전수수료 를 체크를 하시고 이용을 하실 수 있게 되신다고 보시면 됩니다.
최근 KEB하나은행 과 신한은행 그리고 우리은행의 환전수수료 비교를 해보았는데요. 기본적인 전신료는 건당 8,000원 으로 동일 합니다. 그리고 미화 500불 또는 정해진 단위마다 발생하는 수수료 들이 조금식 차이가 있을수 있게 됩니다. 이런 부분들을 비교를 하셔서 송금을 하시거나 환전을 하실때 이득을 보시길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