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취득세 계산 해보기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9. 7. 08:00

다음달이면 집을 사서 이사를 가게 됩니다. 무리하게 돈을 빌려서 이사를 갈 예정인데요. 아파트 등 구매를 할때에는 매매 대금 외에도 들어가는 비용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아파트 매매대금은 기본이고 취득세, 중개수수료, 주택채권 및 인지세 등이 발생을 할 수가 있어요.


그중에서 오늘은 아파트 취득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실제로 취득세율의 경우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요. 오늘은 계산기를 활용해 보도록 할게요.



다양한 금융계산기가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국민은행 금융계산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익스플로러 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게 좀 그렇긴 하지만요.



여전해 액티브X를 활용을 하다니.. 조만간 변화가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되네요. 위와 같이 국민은행을 검색을 하시게 되면 아래쪽에 예금조회, 인터넷뱅킹 우측에 금융계산기가 있어요 이곳으로 이동을 해볼게요.



아파트 취득세 계산 외에도 다양한 금융 계산을 할 수도 있고 아파트 매매시 주택채권예상금액과 중개수수료를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 돈을 빌릴때에도 얼마가 나오는지 알아볼 수가 있겠죠.


우측 에 부동산계산기가 있는데요. 이때 취득세를 클릭을 해줍니다. 매매가 아닌 매도를 하시는 분의 입장에서는 양도소득세를 활용해 보시는것도 좋은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그럼 위와 같이 나오게 되는데 토지, 아파트, 연립주택 등 다양하게 설정이 되어 있어요. 우리는 아파트 취득세 계산 을 하기 위함이니 아파트를 클릭을 해보도록 할게요.



취득일을 입력하고 어떤 이유 때문인지 취득의 원인을 선택해 줍니다. 아무래도 매매, 경매 등으로 구매를 하는 것과 상속, 증여 등에 따라 이용을 할때에는 세율이 차이가 나기 때문인데요. 저도 정확한 세율을 모르기 때문에 이부분을 정확히 체크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취득세율의 기준이 되는 취득가액과 전용면적 역시 정확하게 입력을 해주세요. 수도권이나 도시지역 이 아니라면 우측에 체크박스에 체크를 해주시면 됩니다. 일단 저는 2주택 이상을 선택을 했습니다만 취득가액이 저렴 하기 때문에 2주택이라도 취득세가 변동이 되지는 않는거 같네요.



이렇게 아파트 취득세 계산 을 해보았습니다. 과세표준(실지거래가) 가 2억으로 취득세는 1%인 200만원이 나왔습니다. 여기다가 교육세를 포함하여 총 과세표준액 에서 1.1%를 납부를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주택채권 할인을 하게 되면 6만원 정도 추가로 발생을 할 수 있겠네요. 이런 방식으로 활용을 하실 수가 있을거 같네요 ^^ 아파트 매매시 이런 부분들을 확인을 하시고 진행을 해보시면 좋겠어요~


4대보험은 직장인들이라면 누구나 가입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급여를 받을때 원천징수를 하게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금융기관에 제출을 하거나 카드 발급등을 할때 건강보험 납부증명서나 기타 서류를 발급 받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때 4대보험 포털사이트 발급 을 진행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4대보험 계산을 해보는 경우에도 해당 사이트에서 활용을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직장인 분들이라면 해당 사이트에서 다양한 부분을 확인을 할 수 있을걸로 예상이 됩니다.



위와 같이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 라고 검색을 하시면 됩니다. 사실 이 포스팅을 보시기 위해 검색을 하셧어도 4대보험 포털사이트 를 보셨을 건데요 ^^ 접속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곳에서는 인근 지사 찾기 부터 증명서 신청 및 발급 과 4대보험 모의 계산기를 활용하실 수가 있으세요. 방법 자체는 너무나 간단하지만 증명서 발급을 위해서는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4대보험 가입증명서 등을 발급을 받기 위해서 4대보험 포털사이트 를 활용을 하시면 되시는데요. 위와 같이 첫 페이지에 보시게 되면 증명서 발급 부분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이곳에서 원하는 내용을 선택을 해주세요.


증명서 (가입내역확인) 신청/발급 을 선택을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몇가지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를 진행을 하실 수가 있을거 예요.



그러면 위와 같이 증명서 발급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확인 버튼을 눌러서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셔야 하는데요. 로그인을 하시게 되면 다시 한번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이게 되면서 확인 버튼을 누르게 되면 원하는 정보를 찾아 보실 수 있게 되실 겁니다.



그리고 4대보험 포털사이트를 찾게 되는 이유중 한가지는 4대보험료 모의계산을 하기 위함 입니다. 내가 정상적으로 세금을 내고 있는지 내 월급에 원천징수가 알맞게 되고 있는지 확인을 할 수가 있게 됩니다. 이곳을 클릭을 해주시면 되십니다.



그럼 4대보험료 모의계산을 진행 하실 수가 있어요. 기본적으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그리고 고용보험의 경우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씩 부담을 하게 될 겁니다. 산재보험의 경우에는 회사에서 전액을 부담을 하게 되고 급여를 받을 때에는 소득세 부분을 떼게 되는 것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실거 같아요.


이런 방식으로 4대보험 포털사이트 발급을 진행 할 수도 있고 모의계산기를 활용을 하실 수도 있어요 ^^ 여러분들께서 원하는 방식으로 활용을 해보시면 되실거 같네요. 그럼 오늘도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되셨길 바랍니다~


isp 안전결제 다운로드 및 수동 설치 방법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9. 4. 08:00

BC 카드를 이용하시는 분들의 경우 인터넷에서 쇼핑몰을 보시면서 마음에 드는 상품을 선택을 하셔서 결제를 할려고 하실때 볼 수 있는 부분이 바로 isp 입니다. 국내에 있는 다양한 결제 시스템 중 하나 인데요. 최근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외에도 크롬 등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을 합니다.


하지만 때때로 정상적으로 결제 진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대 isp 안전결제 다운로드 를 수동으로 진행을 하셔서 설치를 하셔야 결제를 진행 할 수가 있습니다.



isp 관련된 내용을 확인하시기 위해서는 브이피 라는 사이트로 접속을 하셔야 합니다. 위와 같이 한글로 브이피 라고 검색을 하셔야 이용을 할 수가 있어요.



그리고 실제로는 같은 사이트 이지만 두번째에 있는 service.vp.co.kr 으로 접속을 하셔야 이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쇼핑몰 등으로 접속을 하여 정상적으로 설치가 안될때 이용을 하세요~



브이피 사이트에 접속을 하시게 되면 기본 화면에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처음 들어오시면 팝업 광고들이 여러개가 있는데 닫게 되면 위와 같이 보이게 됩니다.


좌측에 일반결제 ISP 수동설치 라고 되어 있는 곳이 있습니다. 이것을 클릭을 하시면 ISP 안전결제 다운로드 를 진행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럼 ISP 수동 설치를 할 수 있는 두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액티브X 형식으로 이용을 하신다면 아래쪽을 이용하시면 되시지만 기본적으로 모든 브라우저 에서 활용을 하시기 위해서는 첫번째에 있는 일반결제 ISP PLUS 수동 설치 를 진행 하시면 되실거 같습니다.



isp 안전결제 다운로드 하신 후 수동설치를 하고 나면 일반결제 isp 테스트를 통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느지 확인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화면 상단에 있는 메뉴 에서 결제 테스트를 클릭하시고 일반결제 isp 테스트를 이용해 봅니다.



상품명의 경우 임의의 이름을 입력하시겨 결제 금액 역시 임의의 수치를 입력해 주세요. 실제 결제를 하는 것과 동일 한 방법으로 진행을 하실 수가 있으신데 실제로 결제가 되진 않지만 결제 금액이 30만원이 넘어가게 되면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하는 부분 입니다.


어쨋든 이런 방식으로 isp 안전결제 다운로드 및 수동 설치 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고 즐거운 주말이 되시길 바랄게요!


톨게이트 미납 조회 하기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9. 3. 08:00

요즘에는 하이패스가 있어서 고속도로와 자동차전용 도로를 다닐때 보다 원할하게 이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곧 다가올 추석에는 그 활용도가 떨어질 전망인데요. 아무래도 많은 사람들이 차량으로 동시에 이동을 하다보니 어딜 가나 주차장을 방불케 할걸로 예상 됩니다 ^^


오늘은 톨게이트 미납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하이패스의 경우 장치를 제대로 등록하지 않았거나 잘못 들어가서 제대로 계산을 못할 때가 있는데요. 그래서 톨게이트 비용을 어마나 미납했는지 확인해 보는 시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물론 하이패스 등록을 한 차량에 대해서 톨게이트 미납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일반 차량의 경우 실수로 하이패스 차로로 이동을 하게 되면 추후에 차량이 등록된 주소지로 미납 부분 납부 요청을 해 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하이패스 차량 등록을 한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준비물은 공인인증서 또는 아이핀이 있어야 합니다.



미납금 조회를 하기 위해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서비스에 접속을 하셔야 합니다. 위와 같이 네이버에서 하이패스라고 검색을 하시면 이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다른 포털 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어요.



그리고 접속을 하시면 좌측에 통행료 사용내역 그리고 아래 쪽에는 미납통행료 조회/납부 버튼이 있습니다. 이곳에서 톨게이트 미납 조회를 할 수 있지만 우선 신규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미 등록하신분읜 로그인을 하시면 되시구요.



앞서 설명 드린대로 아이핀 또는 공인인증서를 통해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을 할 수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이핀을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모든 컴퓨터에서 공인인증서를 설치해놓을 수는 없기 때문인데요. 여러분들께서 편한 방법을 활용해보시길 바랄게요.



그럼 등록된 차량 미납통행료 부분을 체크를 하게 됩니다. 아직 차량을 등록 안하신 상태라면 등록을 해주세요. 치량 등록이전의 미납 비용이 나오는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ㅠㅠ


차량 등록을 우선 진행을 해주세요~



그럼 이런 방식으로 톨게이트 미납 조회를 할 수 있어요. 간단하죠? 미납통행료가 나오게 된다면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으로 납부를 진행을 할 수 있으니 상당히 간단하게 진행을 하실 수가 있을거 같습니다.


그럼 하이패스를 이용하시다가 실수로 하이패스 전원을 연결하지 않거나 카드가 들어가 있지 않았다고 해서 사이렌 소리에 당황하지 마시고 추후에 납부를 하시면 되십니다 ^^


크롬 다운로드가 안돼요 ?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9. 2. 08:00

크롬 다운로드가 안돼요 그럴땐 이렇게~


익스플로러의 시대가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많이 이용을 하고 있죠 그놈의 액티브x 때문인데요. 물론 윈도우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는 익스를 활용을 많이 하고 계십니다. 컴퓨터를 조금 하신다 하는 분들은 속도와 보안 그리고 다양한 확장 프로그램 덕분에 크롬을 다운로드 받고 이용을 하시는데요.


간혹 크롬 다운로드가 안되서 이용을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몇가지 해결 방법들이 있지만 가장 확실한 한가지를 알려드릴게요.



오늘 최종적으로 해결 할 것은 크롬 다운로드가 안돼요 일 경우 입니다. 그렇습니다. 문제는 크롬 설치 파일이 다운로드가 안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크롬이라고 검색을 하게 되면 위와 같은 사이트가 보이시게 될 거예요.



이곳으로 이동을 하셔서 크롬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게 되면 더이상 진행이 되지 않고 파일이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크롬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상단에 보이는 브라우저(메뉴) 를 클릭하면 개인 컴퓨터용, 모바일용 등이 나오게 되는데요. 이때 모바일용으로 갔다가 다시 개인 컴퓨터용으로 이동을 하신뒤에 다운로드를 클릭 하시면 다운로드 및 설치가 진행이 된다는 것 입니다.


분명 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안되는 분들도 있으시구요. 이 방법으로 안되면 다른 방법을 해봐야 겠죠.



이 화면 까지 왔는데 크롬 다운로드가 안돼요 ? 라고 하실 분은 아마 없으실거 같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네이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방법 입니다.



네이버 소프트웨어 에서 위와 같이 다운로드를 할려고 보시면 우측 상단에 개발사 다운로드 가 있습니다. 이것을 클릭하시게 되면 크롬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이 되는데요.


똑같은 화면으로 가는데 이게 무슨 해결법이냐 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다운로드가 된다고 합니다. 물론 안되는 분들도 있을 수 있는데요. 그래도 안되면 아래를 참고 해주세요.

ChromeSetup 64bit (1).exe


ChromeSetup 32bit (1).exe


위 크롬 셋업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설치를 진행을 하시면 되실거 같습니다. 여러분들의 윈도우 버전에 맞는 부분을 선택을 하시면 되실거 같네요. 가급적 공식 사이트가 아닌 곳에서 다운로드를 하는건 좋지 않지만 바이러스 검사를 완료 하고 첨부 합니다.


그럼 크롬을 자유롭게 이용하세요~


벌써 8월도 지나가고 무더운 여름이 막바지에 다다랐네요. 처서가 지나고 가을 느낌이 물씬 왔었지만 다시 기온이 오른다고 합니다. 항상 환절기 감기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우리는 열심히 일을 하고 일의 대가로 급여를 받게 됩니다. 하지만 책정된 월급 또는 연봉과 실수령액에는 조금의 차이가 있는데요. 아무래도 이부분은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등 4대보험등으로 원천징수가 되게 됩니다. 이번시간엔느 1억 연봉 실수령액 알아보도록 할게요. 계산기를 활용해서요.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는 다른 곳에서 도 이용을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많은 분들이 활용하고 있는 것은 사람인에서 제공을 하고 있는 연봉 계산기 입니다.



사용방법도 간단하고 로그인을 할 필요도 없으며 누구나 활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위와 같이 사람인 사이트로 접속을 해보도록 할게요.



오늘 포스팅의 제목 처럼 1억 연봉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요. 단순히 계산을 해보시게 되면 833만원 정도의 급여를 매월 받을 수가 있게 됩니다. 하지만 먼저 말씀드린대로 소득세와 4대보험 등을 떼게 되는데요. 다양한 기업의 연봉을 확인을 위해서는 위 그림과 같이 연봉정보 메뉴를 이용해보시면 됩니다.



일단 우리는 연봉 계산기를 활용하여 실제 수령액을 확인 해보기 위해 메인사이트 우측에 보시면 로그인 창이 있습니다. 좌측에 글자수 세기, 학점변환, 어학점수 변환 등의 메뉴들이 있는데요. 이곳중에 아마 메뉴를 하나 클릭을 해주세요. 그리고 다음 화면으로 이동을 해주세요.



그럼 위와 같이 성공취업 도우미 에 다양한 메뉴들 중에 연봉 계산기를 이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1억 연봉 실수령액 뿐 아니라 어떠한 금액이라도 이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간단히 보도록 할게요.



사용방법은 위와 같습니다. 연봉 또는 월급 형태로 입력을 하시고 연봉에 1억원을 입력을 하고 부양가족수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20세 이하 자녀수도 체크를 해주시고요.


이곳에서 비과세액의 경우 급여 책정시 식대 10만원 등이 설정이 되어 있을 겁니다. 대부분 식대가 이런 식으로 포함이 되어 있을 겁니다. 그리고 우측에 실수령액이 보이게 되는데요. 소득세가 상당히 많이 발생을 하게 되는데 급여가 ㅁ낳을 수록 증가하는건 당연한 부분이죠.


이런 방식으로 1억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확장자 변환 프로그램 사용하기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8. 31. 08:00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을 하실 때에는 확장자를 변경 할 일은 거의 없습니다. 만약 이미지의 포맷을 변경을 하실 때에는 확장자를 임의로 변경을 하는 것 보다는 알씨 등 이미지 컨버턴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확장자를 바꾸는 경우가 좋을 거 같습니다.


하지만 오늘 알려드릴 확장자 변환 프로그램 으로는 임의로 확장자를 변경을 할 수도 있고 동시에 여러개의 파일 이름을 변경을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부터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아마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거로 예상 합니다. 오늘 알아볼 확장자 변환 프로그램 이자 이름 일괄 변경 프로그램은 다크네이머 인데요.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을 할 수가 있을거 같은데요. 다크네이머를 활용해 보도록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해주세요. 네이버 소프트웨어 그림을 보여드렸지만 어디서든 검색을 하시면 간편하게 이용을 할 수가 있을 겁니다.



일단 실행을 하시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지금 보시는 장면은 파일 불러오기를 실행한 모습인데요. 칼무리로 찍은 스샷 9장의 파일명을 또는 확장자 변환 프로그램 으로써 사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좌우측에 보이는 다양한 내용을 진행을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주로 파일명 일괄 변경에 많이 쓰이게 되는 프로그램 입니다. 이름 지우기, 위치 지우기, 숫자만 남기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우측 최하단에 있는 확장자 변경 을 눌러주시면 일괄적으로 확장자를 변경을 할 수가 있습니다. 기존 JPG 파일을 PNG 형태로 변경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좌측에는 현재이름 우측에는 바꿀이름 이라고 보여지게 됩니다. K-001.jpg 였던게 K-001.png 로 확장자 변경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일괄 파일면 변경을 하실때에는 다양한 메뉴들이 있어서 편리하게 이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기 위해 문자열 바꾸기 를 진행해 보도록 할게요.


문자열 바꾸기는 특정 문자열만을 골라서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위에는 k를 j 로 변경을 하는 것이지만 문장 자체를 변경을 할 수가 있습니다. 물론 동일한 내용이 있을경우에 가능하죠.



이런식으로 확장자 변환 프로그램 다크네이머 를 이용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확장자명을 변경 한다고 정상적으로 이용을 할 수 없는 파일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동영상 파일인데요. 이럴 때에는 인코딩 프로그램을 활용하셔야 할거 같아요.


도움이 되셨으면 하네요~


한글 양면인쇄 하는 방법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8. 30. 08:00

오늘은 한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한글에는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할 수가 있는데요. 이번시간에는 한글 양면인쇄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인쇄를 할 때에는 한장에 한면씩만 인쇌르 할 수가 있는데요. 프린터가 양면인쇄를 지원하는 경우 한글 프로그램 설정을 하여 간단하게 양면으로 인쇄를 할 수가 있게 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동으로 앞쪽 과 뒤쪽 인쇄를 할 수가 있으니 참고해 주시면 되시겠습니다.



우선 인쇄를 할 수 있게 합니다. 위와 같이 파일 부분을 클릭을 하시고 인쇄를 눌러 서 진행을 해주세요. 단축키는 ctrl + p 입니다. alt + p 는 안되는듯;; 그렇기 인쇄 버튼을 눌러서 한글 양면인쇄 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진행 할 수가 있습니다.



우선은 수동으로 진행을 하는 방법을 주로 하게 됩니다. 만약 여러분의 프린터가 양면인쇄를 지원하는 경우라면 아래처럼 진행해 주세요.



인쇄 기본 옵션에서 설정을 클릭을 해줍니다. 저의 경우 hp 를 이용을 하고 있습니다. 일단 설정 버튼을 눌러 보도록 할게요.



그럼 이곳에서 설정하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한글 양면인쇄 를 자동으로 할 경우 프린터가 첫번째 페이지를 내 뱉은 다음 다시 그 종이를 빨아들여(?) 뒷장을 인쇄를 하는 방식 이었던걸로 기억 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빠른 인쇄를 할 수가 있었는데요. 요즘에는 프린터가 좋고 잉크가 잘나와서 괜찮은데 예전에는 수동으로 인쇄를 할 시 잉크가 마르지 않아서 프린터 헤드가 엉망이 되는 경우가 있었던거 같아요. 지금도 모르니 양면으로 진행 할때 잉크를 확실히 말리고 해주세요~



방법은 간단 합니다. 인쇄 번위를 홀수로 먼저 진행을 해주세요. 1,3,5,7 으로 인쇄를 합니다. 그리고 인쇄물이 나온 이후에 인쇄내용이 하늘로 향하게 한다음 다시 용지함으로 넣습니다.


간혹 다른 프린터가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용지가 나오면서 프린터 헤드를 통과하여 뒤집어서 안쇄를 해서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인쇄함에 넣을때에는 인쇄된 부분이 하늘을 향하게 해야 뒷면에 다음 인쇄를 진행 할 수가 있습니다.


인쇄가 끝난후 짝수로 인쇄를 하면 끝~ 하지만 페이지 수가 많다면 확장 탭으로 이동을 하여 홀짝 인쇄를 정할 수가 있습니다. 그외 다양한 부분들의 설정을 진행을 하시고 한글 양면인쇄 를 진행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런 방식이라면 다른 프로그램 들 에서도 이용을 할 수가 있을걸로 예상이 됩니다~ 즐거운 하루가 되시길 바랄게요!


한글파일 워드로 열기 방법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8. 29. 08:00

출생신고서를 작성을 하거나 혼인신고서를 작성 하는등 관공소에서 양식을 받아서 이용을 할때에는 대부분 한글 양식으로 되어 있는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한글 프로그램이 있다면 무리 없이 이용을 하면 되겠지만 한글이 없다면 이용하기가 어렵습니다.


뷰어를 이용하여 출력후 손으로 작성해도 되긴 하지만 워드로 타이핑을 하고자 할때에는 방법이 완전 없는게 아니예요. 한글은 없어도 MS OFFICE 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많은 텐데요. 그래서 한글파일 워드로 열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저는 한글과 MS WORD 두개 모두 보유를 하고 있어서 어떤 경우에도 사용을 할 수가 있어서 큰 무리 없이 이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출생신고서를 다운 받을때 워드 형식의 파일도 있긴 하더라구요.



하지만 다른 양식의 경우 이용할 수 없을 경우 한글파일 워드로 열기 를 시도를 하셔야 할거 같습니다. 지금 부터 워드로 열어보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하지만 100% 다 되는건 아니더군요.



일단 MS WORD 를 위한 아래아한글 문서 변환 도구를 다운 받아서 이용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워드에서 HWP 파일을 DOCX 파일 처럼 이용을 할 수가 있다고 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confirmation.aspx?id=36772 으로 접속을 하셔서 다운로드 받으시고 설치를 진행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접속하시면 위와 같은 창이 하나 뜨실겁니다. 그리고 다운로드를 진행 해 주세요.



여러분들께서 현재 사용하고 계신 윈도우 비트 에 맞게 선택을 하시면 되시는데 32비트의 경우에는 X86을 선택하시고 64비트의 경우 x64 즉 아래에 있는 문서를 선택을 하시고 다운로드를 진행해 주시면 되십니다.



다운로드 후에 설치 지침이 있습니다. 설치 방법과 관련된 사항을 확인을 해주시면 되십니다. 하지만 중요한 부분이 있었는데요. 설치 이전에 보시게 되면 시스템 요구 사항 부분이 있는데요.



제가 이용하고 있는 워드의 경우 2007 버전 입니다. 어째서 인지 정상적으로 설치를 했음에도 작동이 되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다시 시스템 요구 사항을 확인해 보니까 한글파일 워드로 열기 를 할 수 있는건 ms word 서비스팩 2 이상 2010, 2013 등을 지원하며 2013의 경우 윈도우7과 8만 지원을 한다고 합니다.


물론 윈도우10 은 상위호환이 된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저는 안되더군요 ㅠㅠ 한글 2014vp 에서 만든 한글 문서가 워드 2007 에서는 안됩니다 ;; 이점 참고하셔서 이용해보세요~


한글 네모체크 표시하는 방법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8. 28. 08:00

갑자기 추워졌습니다. 실제로를 그렇게 추운 날씨가 아니지만 36도에 육박하던 폭염 다음날에 갑자기 그래서 그런지 춥게 느껴지네요 ^^ 갑작스러운 날씨 변화로 환절기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유의하시길 바랄게요~! 오늘도 컴퓨터 한글 프로그램에 대해 간단히 알아볼건데요.


한글 네모체크 표시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공서에 제출해야 하는 양식들을 보게 되면 대부분 한글 파일인데 그 중에 체크를 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손으로 작성을 해야 할때면 그렇게 하면 되지만 컴퓨터로 작성시 간단하게 체크를 표시할 수가 있습니다.



가장 간편한 방법은 한글에 내장되어 있는 기능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문자표를 불러오시면 되시는데요. 위와 같이 메뉴중 입력 메뉴에서 문자표를 클릭을 하시게 되면 창이 하나 뜨게 될겁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 버전은 2014vp 인데요. 아마 다른 버전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겁니다. 문자표 불러오는 단축키는 Ctrl + F10 을 누르면 바로 문자표를 불러오게 되실 겁니다.



한글 네모체크 표시를 하기 위한 문자표를 열었습니다. 기본적으로 모음을 누른 상태에서 한자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도 진행을 할 수가 있습니다만 문자표에는 더 다양한 체크표시를 입력을 할 수가 있을 겁니다. 위와 같이 열어둔 상태에서 좌측에 문자 영역 부분에서 특수깁호 및 딩뱃기호로 이동을 해봅니다.



그리고 화면을 아래로 좀 내려오다가 보면 위와 같이 체크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하실 수가 있게 되실 겁니다.



조금 위에 있는 화면을 보시게 되면 우측 상단에 한글 네모체크 표시를 할 수도 있게 되는데요. 붉은색 밑줄을 참고하시면 되실거 같네요. 그리고 넣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체크표시를 완성을 했습니다. 일반 텍스트 처럼 사이즈를 늘리고 줄일 수가 있고 원하시는 방법으로 사용을 하실 수가 있어요. 그리고 윈도우 자체 기능으로 체크 표시를 하실 수도 있으신데요. 이건 한글 네모체크 표시와는 조금 다릅니다.



네모가 아닌 체크표시를 할때에는 ㄷ + 한자 키 를 눌러주시면 체크 표시를 찾을 수 있을 겁니다. 이런 방식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을 할 수 있습니다. 그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도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갖고 돌아올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