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취득세 계산 해보기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9. 7. 08:00

다음달이면 집을 사서 이사를 가게 됩니다. 무리하게 돈을 빌려서 이사를 갈 예정인데요. 아파트 등 구매를 할때에는 매매 대금 외에도 들어가는 비용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아파트 매매대금은 기본이고 취득세, 중개수수료, 주택채권 및 인지세 등이 발생을 할 수가 있어요.


그중에서 오늘은 아파트 취득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실제로 취득세율의 경우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요. 오늘은 계산기를 활용해 보도록 할게요.



다양한 금융계산기가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국민은행 금융계산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익스플로러 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게 좀 그렇긴 하지만요.



여전해 액티브X를 활용을 하다니.. 조만간 변화가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되네요. 위와 같이 국민은행을 검색을 하시게 되면 아래쪽에 예금조회, 인터넷뱅킹 우측에 금융계산기가 있어요 이곳으로 이동을 해볼게요.



아파트 취득세 계산 외에도 다양한 금융 계산을 할 수도 있고 아파트 매매시 주택채권예상금액과 중개수수료를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 돈을 빌릴때에도 얼마가 나오는지 알아볼 수가 있겠죠.


우측 에 부동산계산기가 있는데요. 이때 취득세를 클릭을 해줍니다. 매매가 아닌 매도를 하시는 분의 입장에서는 양도소득세를 활용해 보시는것도 좋은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그럼 위와 같이 나오게 되는데 토지, 아파트, 연립주택 등 다양하게 설정이 되어 있어요. 우리는 아파트 취득세 계산 을 하기 위함이니 아파트를 클릭을 해보도록 할게요.



취득일을 입력하고 어떤 이유 때문인지 취득의 원인을 선택해 줍니다. 아무래도 매매, 경매 등으로 구매를 하는 것과 상속, 증여 등에 따라 이용을 할때에는 세율이 차이가 나기 때문인데요. 저도 정확한 세율을 모르기 때문에 이부분을 정확히 체크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취득세율의 기준이 되는 취득가액과 전용면적 역시 정확하게 입력을 해주세요. 수도권이나 도시지역 이 아니라면 우측에 체크박스에 체크를 해주시면 됩니다. 일단 저는 2주택 이상을 선택을 했습니다만 취득가액이 저렴 하기 때문에 2주택이라도 취득세가 변동이 되지는 않는거 같네요.



이렇게 아파트 취득세 계산 을 해보았습니다. 과세표준(실지거래가) 가 2억으로 취득세는 1%인 200만원이 나왔습니다. 여기다가 교육세를 포함하여 총 과세표준액 에서 1.1%를 납부를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주택채권 할인을 하게 되면 6만원 정도 추가로 발생을 할 수 있겠네요. 이런 방식으로 활용을 하실 수가 있을거 같네요 ^^ 아파트 매매시 이런 부분들을 확인을 하시고 진행을 해보시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