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을 작성을 하게 되면 대부분 데이터 이름과 데이터 값으로 정리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어떠한 방법으로 이용을 하셔도 좋지만 통상적으로는 첫번째 순번 두번째 이름 세번째 값 등으로 형성이 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물론 사용이 되는 예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순번을 매기기 할때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연속데이터 를 번호로 매기는 것인데요.
지금부터 엑셀 번호 매기기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드릴 건데요. 위 그림처럼 이름과 전화번호가 들어가 있는 상황이든 아니든 우리는 번호를 입력을 할려고 합니다.
순서대로 1번 부터 매기도록 할건데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첫번째 부분에 숫자 1을 입력을 한 상태에서 셀의 우측 하단에 마우스 커서를 옮기게 되면 십자가 모양이 나오게 됩니다. 이때 CTRL 을 누른 상태가 되면 위 그림 처럼 십자가 위에 또 십자가 모양이 나오게 되죠 이때 셀 우측 하단을 클릭 한 상태에서 아래로 드래그 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숫자가 정렬이 되는 모습을 보실 수가 있으시죠? 만약 CTRL 을 입력하지 않고 그대로 드래그를 했다면 숫자 1로만 채워지게 되실 겁니다. 특이한점은 우측에 전화번호 부분에서는 그냥 드래그를 해야만 연속적인 숫자가 생성이 되게 되는데요.
우리가 번호를 매길려고 할때에는 CTRL 을 누른 상태여야 합니다. 이것은 연속적으로 이용을 할때 CTRL 없이 작동을 할 수 잇게 되는데요.
만약 숫자 1과2 만 입력을 하신 상태라고 하고 1과2를 드래그로 선택하고 2번이 있는 셀의 우측 하단에 마우스를 올리면 역시 십자가 하나만 나옵니다. 이때에는 CTRL 을 누르지 마시고 드래그를 해서 아래쪽 까지 내려가게 되면 1부터 8까지 번호를 매길 수가 있어요.
사용방법은 조금 애매하다고 하시면 CTRL 느리고 해보시고 그냥 해보시면 되실거 같아요 ㅠㅠ 다른 방법으로 엑셀 번호 매기기 를 할 수 있는데 마지막 방법은 채우기를 이용하는 것 입니다.
채우기 버튼을 누르시면 위 그림과 같이 제일 아래쪽에 계열(S) 라고 되어 있는 메뉴가 보이실 거예요. 이부분을 클릭을 해서 이동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연속데이터 창이 하나 열리는데요. 이때 방향은 열을 선택을 하시고 유형은 선형 그대로 두시면 됩니다. 아래쪽에 단계 값에서 1은 기본으로 들어가 있고 종료 값을 여러분이 원하는대로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저의 표에 의하면 종료값은 8이 들어가야 되겠죠? 그럼 숫자 1부터 8까지 엑셀 번호 매기기 가 완성이 되게 되겠습니다. 3가지 방법중에 편하신 대로 이용을 하시면 좋으실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