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업종코드 조회 방법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7. 3. 25. 08:00

일반적으로 직장을 다니시다가 자신이 하고 싶어 하는 일에 도전을 할려고 할때에는 대부분의 경우 사업자를 따로 내고 일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을거 같아요. 하고 싶은 일인 만큼 해당 일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실텐데요. 최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사업자 등록을 하는 것입니다.


세무서에 가서 하실 수도 있지만 요즘에는 집에서 간편하게 인터넷을 통해서 하실 수가 있게 된느데요. 이때에는 업종, 종목 코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비슷한 업종이더라도 코드에 따라 경비율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해요.



해당 업무는 인터넷에서 확인을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간편하게 확인을 하실 수가 있게 됩니다.



위 그림 과 같이 포털 사이트에서 홈택스 라고만 검색을 하셔도 해당 사이트에 접속을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단순히 국세청 업종코드 조회 하는 것은 공인인증서 등의 본인 인증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시게 되면 위 그림과 같이 나오게 됩니다. 만약 로그인을 하셨다면 조금 다르게 나올 수가 있는데요. 일단 좌측에 있는 조회/발급 이라고 되어 있는 아이콘을 클릭을 하셔서 접속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조회 발급 메뉴를 들어가시게 되면 전자세금계산서 부터 연말정산간소화 등의 메뉴를 한눈에 보실 수가 있습니다. 물론 한눈에 보이긴 하지만 제대로 잘 들어오진 않는거 같아요 ^^;;


업종코드를 찾아보기 위해서는 우측 끝에 있는 기타 조회 부분에서 기준(단순)경비율 이라고 되어 있는 항목을 클릭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위와 같은 창이 나오게 됩니다. 현재 상태로는 업종코드를 모르기 때문에 우측에 있는 업종 부분에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을 하시고 검색 버튼을 눌러주세요.



지금 보시는대로 저는 업종명에 용역을 검색을 하였습니다. 보이는 내용대로 업종코드와 세분류, 세세분류, 적용기준 등의 항목이 열거가 되어 있는데요. 여러분이 찾고자 하는 분류를 찾아서 더블 클릭을 해주세요. 아니면 업종코드를 외우셔서 닫기 버튼을 누른 다음 이전 화면에서 업종코드를 입력을 하시고 조회 버튼을 누르셔도 됩니다.



종합 건설업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는데요. 기준경비율 등에 대한 정보들이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적용범위 및 기준 등에 대한 내용들도 찾아보실 수가 있을 거 같네요.


저는 아직 창업을 해보지 않아서 정확히 어떤 부분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런 방식으로 국세청 업종코드 조회 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배워 보았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 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