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는 해당 국가에 살면서 ID 를 받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민등록번호 라고 해서 생년월일6자리와 특정방식으로 이루어진 7자리가 합쳐서서 총 13자리의 주민번호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이런 것처럼 사람이나 물건(?) 들에는 정체성을 띄게 하는 무언가가 있습니다.
물론 모든 것에 있는 것은 아니고 집이나 자동차 같은 고가의 무언가에 부여를 하게 되는데요 자동차에는 차대번호 라는 것이 있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차대 번호는 자동차등록증에 명시가 되어 있습니다. 차량을 구매 해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실제 차량넘버가 나오기 이전에 이미 차대번호는 나와 있는 상태 인데요. 등록번호 나오기 이전에 보험 가입시 차대번호를 이용을 하게 됩니다.
일단 이 번호를 가지고 자동차에 대한 정보를 보는 방법이 있는데요. 지금 부터 현대차 차대번호 보는법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물론 현대차 이외에는 자신의 자동차 브랜드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시면 이용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17자리의 번호에 숨겨진 의미를 직접 알아보실 수도 있으신데요. 국내차량과 해외차량의 경우 조금씩 달라질 수가 있다고 하니 홈페이지에서 검색을 하시는게 정확할 거 같습니다.
일단 블루멤버스로 들어가 보도록 할게요.
홈페이지 에서 차량관리 서비스로 이동을 하시면 되시는데요. 우측 끝에 있는 줄 세개 있는 곳으로 가서 전체 메뉴에서 확인을 해보실 수도 있습니다. 일단 해당 메뉴로 이동을 할게요.
그리고 차량관리 서비스로 이동을 하셔서 매도 & 구매지원 아래에 있는 메뉴 중에 사양조회 라고 되어 있는 곳이 보이실 겁니다. 이곳으로 접속을 해주시면 됩니다.
명시되어 있는대로 중고차 구입 고객의 보험계약시 편의를 위해 사양 조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요. 이곳에서 차대번호 보는법 을 알 수 있을거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첫번째 자리는 국적, 두번째 자리는 제조 회사를 뜻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3번 부터 차종, 4번은 차량의 형식기준, 5번은 차체 형상,등이고 10번은 제작년도를 말한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