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주로 이용하고 있는 유튜브 나 다양한 동영상 사이트를 보시게 되면 생방송의 경우 편집 등을 전혀 하지 않고 보여지게 되지만 웹 방송 하는 BJ 들의 녹화 하여 유튜브 등에 영상을 올리는 것을 보게 되면 편집이 되어서 나오는 부분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동영상 분할 편집 을 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는 시간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쁘게 자막이나 cg 등을 꾸미는 것은 따로 알아보시고 ㅠㅠ 오늘은 영상에 불필요한 부분을 자르거나 붙이는 방법으로 편집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동영상 편집 을 하기 위해서는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을 하셔야 하시는데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다음팟 인코더를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굳이 편집을 할 일이 많지는 않아서 디테일한 사용법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오늘 알아볼 편집 방법은 사용할 수 있어요 ^^
다음이나 네이버 등에서 다음 팟인코더 라고 검색을 하시면 쉽게 다운 받으실 수 있고 무료로 활용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저는 주로 영상은 USB 에 넣어서 TV 로 볼 수 있도록 인코딩 할때 주로 사용을 했었죠.
일단 다음팟인코더를 실행을 하셨다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가 있을 겁니다. 기본적으로 동영상의 용량을 줄이거나 자막을 입히는 등의 작업을 하실대 이곳에서 환경설정을 거쳐서 인코딩 시작을 하시게 되면 되실 거예요.
우리는 동영상 분할 편집을 하기 위함이니 일단 상단에 있는 메뉴중 인코딩 옆에 있는 동영상 편집 을 클릭을 하셔서 이동을 먼저 하도록 할게요.
그리고 좌측에 영상칸 과 우측에는 파일을 불러 오는 부분이 있는데요. 먼저 우측에 불러오기로 동영상을 불러 옵니다. 만약 여러개의 영상을 합치기 위해서는 파일을 여러개를 불러 온 상태에서 우측에 있는 파일을 클릭 한 다음 좌측에 플레이어로 드래그앤 드랍을 합니다.
그리고 좌측 영상의 아래에 시작과 끝을 정한 후 삽입 버튼을 눌러주시고 다음 동영상을 역시 드래그 앤 드랍으로 옮긴 다음 시작과 끝을 설정한후 삽입 버튼을 누르게 되면 아래쪽 타임라인에 두개의 영상이 올라오게 될 거예요. 그리고 인코딩 시작을 하게되면 영상을 합칠 수 있어요.
위 그림 처럼 영상을 하나 불러왔습니다. 전체 5분 길이의 영상인데요. 시작 과 끝 버튼을 누르게 되면 좌우측 끝에 커서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커서를 클릭을 하여 좌우 분할을 할 위치로 이동을 한 다음에 삽입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동영상 분할 편집을 하기 위한 기본적인 준비가 됩니다. 삽입 버튼을 누르게 되면 위에 잠시 설명드린 동영상 합치기 방법과 유사하게 진행이 될 수가 있습니다.
그럼 위 그림 처럼 영상이 타임라인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때 좌측에 보이는 분할 버튼을 눌러서 디테일하게 편집을 할 수가 있어요. 1초 단위로 설정이 가능 한거 같구요. 분할 버튼을 눌러서 영상 들을 분할을 한 뒤 필요없는 부분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삭제 버튼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우측 하단에 인코딩 시작을 누르게 되면 편집이 완료가 될 수 가 있어요.
위 그림 처럼 동영상 저장이 될 수 있는데 현재 상태를 보시게 되면 제대로 진행이 되지 않고 있네요. 이럴 경우 인코딩 파일 형식을 바꿔보시거나 최신 버전으로 변경을 하시고 활용을 하시게 되면 동영상 분할 편집을 할 수가 있으실 거에요.
12월의 시작이자 2016년의 마지막 으로 접어 들고 있습니다~ 올해 세우신 계획이나 목표들이 이루어 지셨으면 하고 후회없는 2016년이 되셨으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