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연휴의 마지막 날이네요. 빠지는 머리카락과 시간은 붙잡을 수 없네요 ㅠㅠ 그래도 알차게 이용을 하게 되면 보다 느리게(?) 진행을 할 수 는 있을거 같습니다.
오늘 알아볼 정보는 건강보험료 조회 하는 방법 이예요. 기본적으로 급여명세서를 받아보시게 되면 건강료가 얼마나 나가는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만 정확히 확인이 필요하실 때에는 인터넷으로 간단히 확인을 해보실 수가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이트로 들어가셔서 이동을 하셔도 되시는데요. 어차피 이동후에 사이버민원 페이지로 변경을 해야 하기 때문에 위와 같이 검색을 하셔서 바로 이동을 하시면 됩니다.
물론 공단에 방문하셔서 발급을 받을 수 있는데요. 인터넷에서 이용을 하시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왠만하면 인터넷에서 본인인증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공인인증서 발급은 필수적입니다.
사이버민원센터로 접속을 하셨다면 건강보험료 조회 를 위해서 상세메뉴보기 에서 보험료 안으로 이동을 합니다. 첫번째 부과내역을 클릭을 하시면 지역별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직장인의 경우 직장 개인별 조회를 클릭을 해주시면 됩니다.
물론 어느곳을 클릭을 먼저 하든 상관없이 다음 화면에서 다시 진행을 하실 수 있어요.
앞서 말씀드린대로 공인인증 로그인 페이지가 나옵니다. 간단한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를 해주세요. 크롬 브라우저 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이 안될 수가 있어요.
공인인증서를 필수적으로 하드디스크나 USB 등에 저장을 해놓고 진행을 하면 됩니다.
그리고 주민번호 입력을 하면 되는데요. 별다른 회원가입 절차 없이 본인의 주민번호 입력후 본인의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다른 내용으로 하게 되면 안됩니다.
그럼 직장 개인별 조회 로 건강보험료 조회를 하실 수가 있어요. 아래쪽에 조회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계산을 해보실려면 월급 에 요율을 곱하시면 되시는데요. 네이버 등에서 4대보험요율 검색을 하시면 쉽게 찾을 수 있어요.
그럼 이런식으로 결과가 나오게 되실 겁니다. 물론 제가 모자이크 처리를 했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보여지는 것이고 실제로는 금액이 전체적으로 나오게 되는 부분 이에요.
지금까지 건강보험료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즐거운 월요일 되시고 오늘 출근 하시는 분들은 화이팅 하시고 쉬시는 분들은 내일 부터 다시 활기차게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