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앞수표 조회 방법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10. 2. 08:00

아파트 매매를 하는등 큰 금액이 오고 갈때 현금으로 주고 받는 경우는 드뭅니다. 현금과 같은 자기앞수표를 활용 하시는 경우가 많이 있을텐데요. 부도수표 등 제대로 발행이 되어있는지 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을거 같습니다. 수표를 받는 입장에서 더욱 조심을 해야겠죠.


그래서 오늘은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면서 해당 수표가 진짜가 맞는지 조회를 해볼 필요가 있을 수 있을거 같아요. 일단 조회 방법에 대해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자기앞수표 조회 는 각기 발행된 은행 인터넷뱅킹 사이트에서 진행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별달리 공인인증서 등도 필요가 없고 (은행 사이트마다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음) 인터넷만 되면 이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KB국민은행 인터넷뱅킹 사이트에서 조회 하는 방법을 알아볼건데요. 타행 발행 수표 역시 조회가 가능하기에 크게 어려움 없이 해보실 수 있을거 같습니다. 사이트에 접속을 하시고 상단에 빠른조회 버튼을 눌러주세요.



빠른조회 부분은 계좌 잔액 조회 부터 해서 다양한 부분을 진행을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계좌조회는 미리 조회 등록을 해야만 이용이 가능 합니다. 하지만 자기앞수표 조회 는 별다른 등록 없이 가능 합니다.


빠른 조회를 클릭하셔서 들어오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실거고 두번째 탭에 있는 자기앞/어음 수표 사고신고조회 버튼을 누르시면 이용이 가능 합니다.



자기앞수표의 경우에는 부도가 일어날 일은 거의 없습니다만 어음이나 가계수표의 경우엔 부도 등 사고가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일단 우리는 위 그림과 같이 금액과 수표 번호 및 은행발행점번호 등의 숫자를 체크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화면 아래로 이동을 할게요.



1번에 수표번호, 2번에 수표종류 10만원권 100만원권 등을 선택을 해주세요. 그리고 수표에 적혀 있는 발행일을 적으시고 발행점번호를 입력을 하시면 되시는데 타행의 경우 은행코드 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은행코드는 경남 39 / 광주 35 / 기업 03 / 농협 11/ 대구 31 / 도이치 55  부산 32 / 산업 02 / 상호저축 50 / 새마을 45 / 수협 07 / 신한 88 / 신협 48 / 외환 05/ 우리 20 / 우체국 71 / 전북 37 / 제주 35 / 하나 81 / 한국시티 27 / SC제일 23 / HSBC 54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KEB 외환은행은 하나은행과 통합이 되었는데 정확한 코드는 모르겠네요 ^^;; 이런 식으로 자기앞수표 조회를 해보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