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예전에는 한자를 썼습니다. 중국의 영향을 컸죠. 세종대왕 님께서 한글을 만들어 주지 않으셨다면 오히려 중국어 공부를 할 필요가 없어서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아마 없겠죠. 어쨋든 여전히 우리는 한자 없이는 모든 단어를 구사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사람의 기본이 되는 이름 부터 한자를 쓰는 사람들이 많죠. 거의 90% 이상이 한자 이름을 쓰고 계실거 같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좀 덜하지만 신문에서도 한자어를 많이 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모르는 한자가 있을때에는 음과 뜻을 찾아야 하는데 자전을 찾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모르는 혹은 처음보는 한자 찾기 방법에 대해 알아 볼까 합니다.
처음보는 한자의 음과 뜻을 찾는건 부수를 확인하고 자전을 찾는 방법 말고는 없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이 되는 환경이라면 네이버 한자사전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어요.
한자를 써서 그 모양과 똑같은 것을 찾아내는 것인데요. 사실 한자를 잘 쓸줄 몰라도 됩니다. 거의 비슷하게 그리면 되는데 방법은 아래쪽에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네이버 한자사전에 접속을 하셨다면 메인으로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이시게 될겁니다. 만약 음과 뜻을 알고 있다면 좌측에 검색을 해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지금 처럼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에서 처음 보는 한자 찾기 를 하기 위해서는 우측에 있는 한자 필기인식기 를 활용하는 방법이 최고 라고 생각이 듭니다.
지금 제가 적은 한자는 맑을 아 라는 한자 입니다. 雅 다양한 뜻으로 쓰이는 한자 입니다. 정말 한자를 그렸네요 ㅋ 지금처럼 처음 보는 한자 찾기 를 위해 위와 같이 적어보시면 우측에 비슷한 한자들이 나오게 됩니다. 정확하게 쓰지 않아도 찾을 수가 있는 거죠.
그리고 우측에서 찾은 한자를 클릭을 하시게 되면 좌측 검색창에 자동으로 그 한자가 들어가게 됩니다. 그 상태에서 추가적인 한자를 검색을 하시면 문장이 완성 되기도 하는데요. 저 처럼 하나의 글자만 찾으신다면 바로 검색 버튼을 눌러 봅니다.
그럼 위 내용처럼 맑다, 바르다 등의 뜻이 나오게 되고 단어들이 몇개 나오면서 관련된 한자가 쓰이는 고사성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때 다시한번 한자를 클릭 하시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요. 부수는 새 추 이며 난이도는 고등용, 읽기 3급 쓰기 2급, 인명용, 사성음 등 다양한 부분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획순보기 재생을 통해 어떻게 해당 한자를 쓰는지 알 수 있으며
어떻게 만들어진 한자인지 알려주게 됩니다. 뜻이 같은 한자와 반대 한자 등이 나오게 되면서 한자 공부를 할때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을 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이 드네요.
이러한 방식으로 처음보는 한자찾기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