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부터 인터넷 강국으로 불리우게 된 대한민국 입니다. 올해는 모르겠습니다만 2015년 까지 대한민국의 인터넷 속도는 평균 22Mbps가 넘을 정도로 다른 국가에 비해 40% 이상 더 빠른 속도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런 빠른 인터넷뿐 아니라 IT 산업에서도 상당히 높은 순위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물론 절대적인 수치를 내기 위해서 기준을 마련해야 하는데 IT 산업의 종류가 상당히 많고 다양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어쨋든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속도 측정을 해보도록 할텐데요. 지금부터 인터넷 속도체크 프로그램을 이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국가들이 순위에 있지만 1위인 우리나라와의 속도차는 상당하게 많이 나고 있습니다. 인터넷이 빠르면 대용량 파일을 전송하는것도 빨리 할 수 있고 다운 받는것도 마찬가지 이겠죠.



그리고 대용량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을 때 역시 버퍼링 없이 이용을 할 수 있는 부분이고 웹서버어 대용량의 리뉴얼 파일을 업로드 할때도 빠르게 할 수 있어서 고객들에게 빠른 서비스를 제공을 해줄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물론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면 더욱 빠르게 할 수 있겠죠.



다양한 인터넷 속도체크 프로그램이 있습니다만 오늘 인터넷 속도측정 에는 Speedtest 라는 사이트에서 이용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해외서버 인터넷 속도 측정사이트 인데요. 대부분 비슷한 정확도를 가지고 있는거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핑과 다운로드속도 그리도 업로드 속도를 체크를 해보고 이용을 할 수 있게 합니다. 해당 사이트에 접속을 하시게 되면 아래와 같은 기본 화면이 잡힐 거예요.



좌측하단에는 자신의 아이피 주소가 나오게 되고 현재 접속 위치인 대한민국이 나오게 됩니다. 대부분 인터넷의 위치는 서울로 보이게 되는데요. 실제 사는 지역이 서울이 아니더라도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인터넷 회선이 서울로 부터 시작한다고 보시면 되실거 같아요.


그리고 BEGIN TEST 를 눌러서 인터넷 속도 측정을 시작합니다. 그럼 먼제 PING 을 보게 되고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하게 됩니다.



아래쪽 사람과 피라미드 모양이 파일을 주고 받게 되는데요. 맨 처엄 다운로드 속도를 체크를 하는데 만약 위 사진처럼 멈춰있거나 속도가 점점 떨어지면서 약 1분 이상 업로드 스피트로 넘어가지 않을때에는 새로고침을 눌러서 처음부터 다시 인터넷 속도체크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모두 완료가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겠죠



다운로드 속도 보다 업로드 속도가 더 빠르게 측정이 되었네요 ;; 비싼 성능의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면 속도가 훨씬 빨라지겠죠. 보통 90 정도가 나오게 되는데 저희 동네 인터넷이 좋지 않은거 같습니다.


그리고 더욱 빠른 것들은 700이상도 나온다고 하니 제껀 정말 느린거라고 볼 수 있을거 같네요. 나중에 이사 가면 다른 인터넷으로 교체를 해봐야 겠습니다. 이 기회에 TV 인터넷 등 보상금도 좀 받고요 지금까지 인터넷 속도체크 방법과 프로그램 사용법에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