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화면보호기 해제 및 설정 방법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6. 2. 7. 08:00

기본적으로 컴퓨터를 사용을 할 때에는 화면보호기 설정이 되어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하지만 다른 직장에 취업을 하거나 다른 사람의 컴퓨터를 이용을 하게 될 경우 화면보호기가 있어서 잠시 동안 컴퓨터 이용을 하지 않는 경우 보호기가 설정이 되거나 그로 인해 비밀번호 입력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보안상 필요로 하긴 하지만 불필요 할 경우 화면보호기 해제를 해야 하는경우가 있을거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화면보호기를 없는 상태로 설정을 하여 해제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아주 간단하지 보시면 서 따라 하시기만 하시면 되실거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윈도우10의 경우 윈도우7 과는 조금 다른데요. 큰틀은 비슷하니 이용을 하실때 동일 한 방법으로 화면보호기 해제 를 이용을 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먼저 바탕화면 빈 공간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합니다. 그렇게 되면 위와 같이 메뉴들이 나오게 될텐데요. 제일 아래쪽에 개인 설정(R) 으로 이동을 합니다. 그외 방법은 제어판 에서 개인설정 으로 이동을 하거나 화면보고기를 검색을 하면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



개인설정으로 이동을 하시게 되면 배경화면 설정 및 사진을 변경을 할 수 있는 부분이 나오게 되는데요. 윈도우 7의 경우 화면 하단에 바로 보호기 해제를 할 수 있도록 설정 버튼이 있습니다.


윈도우10 에서는 잠금화면 탭으로 이동을 하신 이후에 제일 하단에 화면 시간 제한 설정 바로 아래쪽 화면 보호기 설정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걸 클릭을 해주세요.



화면 보호기 설정으로 들어가게 되면 자그마한 창이 뜨게 되는데요. 기본적인 화면보호기 아래쪽에 다양한 방식의 보호기가 설정이 되어 있을 겁니다. 그중에 없음을 선택을 해주시면 화면보호기 해제를 하 실수 있게 되고 적용 및 확인 버튼을 누르면 끝이 납니다.


하지만 기존의 화면 보호기를 설정을 하면서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 보호 상태 돌입후 다시 돌아왔을때 비밀번호를 입력을 시키고 싶을때가 있습니다. 그럼 아래쪽 화면을 참고를 하면 될거 같애요.



화면보호기 아래쪽에 다시 시작할 때 로그온 화면 표시(R)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화면보호기가 실행이 되고 있는 중에 다른 사람이 이용을 하려고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을 하게 되면 로그온 화면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컴퓨터 비밀번호 를 설정을 해두셨다면 로그온 화면에서 컴퓨터 부팅시 입력해야 하는 비밀번호와 동일한 로그온 화면이 나오게 되는 것이죠.


지금까지 윈도우10 화면보호기 해제 및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신의 개인정보 보안은 스스로 해야 할거 같네요 ^^ 즐거운 설 연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