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많은 분들이 통장은 하나씩 가지고 계실 겁니다. 그리고 조금이나마 집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주택청약통장을 가지고 있을텐데요. 지금도 아파트들이 엄청 있지만 계속 아파트들이 생겨나고 있고 청약통장으로 인해 프리미어 장사를 하시는 분들고 투자를 하시는분 그리고 내집마련을 하시는 분들이 가지고 계실 겁니다.
저역시 내집마련의 꿈을 안고 우리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을 가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해당 상품에 대해서 그리고 연말소득공제 부분에 대해 간단히 말씀 드려 볼게요.
우리은행 인터넷뱅킹 중에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두가지 형태가 있는데요 하나는 우리아이 청약통장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주택청약 상품 입니다.
기본적은 주택청약종합저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우선 가입제한은 따로 없습니다. 연령도, 집 소유 등에 대한 아무런 제한없이 1인 1계좌로 보유를 할 수 있어요.
한달에 2만원에서 50만원 이내로 5천원 단위로 납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다면 서울과 부산에서 85제곱미터 이하의 면접에 청약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6개월을 납입을 해야 300만원을 만들 수가 있겠죠. 정답은 아닙니다. 1500만원 까지는 한번에 납입하는 금액에 제한이 없습니다.
왠만하면 청약 1순위를 얻을 수 있는데요. 일단 우리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은 그외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13월의 월급인 연말정산시 소득공제도 금액의 40%까지 받을 수도 있고요.
예전에 비해 금리가 상당히 떨어졌는데요. 2003년~ 2006년에는 2년이상 보유시 연 6%의 엄청난 이율이 있었는데 지금은 엄청 떨어 졌습니다.
그리고 청약자격 1순위 에 대해 궁금해 하실 수 있으신데요. 국민주택의 경우 최소 1년이 지나야 하고 12회차 이상 납입을 해야 합니다. 민영 주택은 역시 1년을 보유를 하고 있고 회차에 상관없이 금액이 일정 하면 됩니다.
또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부분 인데요. 모두 받을 수 있는건 아닙니다. 근로소득 급여앱이 연간 7천만원 이하여야 하고 무주택세대주여야 한답니다.
이부분은 홈택스에서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에도 확인이 안되기 때문에 소득공제 등록방법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요. 위에 나와 있는 설명대로 과세기간 다음연도 2월말 까지 영업점에 방문하여 무주택확인서류를 작성하고 등록해야 소득공제가 된다고 합니다.
우리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을 넣고 결과적으로 예치금액에 대해 청약을 진행을 하실 수 있으신데. 서울/부산 의 경우 300만원의 예치금이 있어야 85 제곱미터 이하의 민영주택에 청약이 가능 합니다.
102제곱미터 이하는 600만원 등 금액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요. 모든 면적에 청약을 하기 위해서는 1500만원을 납입을 하게 되면 가능 해요. 참고로 구분에 나와있는 면적은 전용면적입니다. 공용면적이 아닌 전용면적. 이점을 참고하시면 되실거 같아요.
절세효과도 있고 다양한 부분에서 혜택이 있는 청약통장을 만드세요. 우리은행 뿐 아니라 모든 은행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