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최초 윈도우를 설치를 하시고 별다른 설정을 바꾸지 않으셨다면 컴퓨터를 사용을 하시다가 잠시 자리를 비우시게 되면 화면보호기가 실행이 되거나 모니터 화면이 검게 되어 있습니다.
이럴때에는 마우스나 키보드를 누르거나 움직여 주면 바로 화면이 복귀가 되는데요. 컴퓨터 모니터 절전모드로 돌입을 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좀더 시간을 지체 하게 되면 컴퓨터 본체 전원도 절전모드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때 원상 복귀 시키는 방법은 전원 버튼을 한번 클릭을 하시면 됩니다.
어찌보면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는 방법이지만 때로는 귀찮은 장면일 수도 있는데요 제가 윈도우10 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는 절전모드 해제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해볼게요.
우선 제어판을 열어야 컴퓨터 모니터 절전모드 해제를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윈도우7에서 바로 윈도우10으로 오신 분들이라면 제어판을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 모르실 수 있으십니다.
윈도우8.1과 윈도우10 이 거의 동일 하게 진행을 할 수 있는 부분인데요 윈도우 시작버튼 + X 를 누르시게 되면 시작버튼 있던 자리에서 위와 같은 화면이 올라오게 됩니다. 그럼 제어판을 열어주시면 됩니다. 시작버튼 우측에 있는 웹 및 Windows 검색 에서 제어판 을 검색 하셔도 됩니다.
그럼 익숙한 제어판 화면이 나오실 텐데요. 이부분 부터는 윈도우7 이든 어디든 동일한 방법으로 하실 수 있으십니다. 만약 이 화면에서 전원 옵션이 보인다면 그곳으로 바로 이동을 하셔도 되시고 없다면 시스템 및 보안으로 이동을 해주세요.
그럼 보안 및 유지관리, 윈도우 방화벽 등 다양한 메뉴들이 나오게 되는데요 전원 옵션으로 이동을 해주세요.
이곳에서 컴퓨터 모니터 절전모드 해제 뿐 아니라 전체적인 컴퓨터를 절전모드 변경 되는 시간 등을 조정르 할 수 있게 됩니다.
전원 옵션으로 이동을 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 이 나오게 됩니다. 윈도우10 모니터의 절전모드만 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좌측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끄는 시간 설정으로 이동을 하시면 되십니다.
만약 컴퓨터의 성능을 최대한 으로 끓어올리고 싶으시다면 고성능을 선택을 해주세요. 하루 3~4시간 정도 컴퓨터를 하신다면 해당 부분으로 인한 전기세 차이는 거의 없어요.
마지막으로 부분 까지 오셨네요. 윈도우10 컴퓨터 모니터 절전모드 해제를 하기 위해서는 위에 있는 메뉴인 디스플레이 끄기 만 해당없음 으로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컴퓨터 자체적으로 절전 모드를 사용하기 싫으시면 밑에 부분도 해당 없음으로 해주시면 되십니다.
또는 제어판 까지 오지 않고도 설정 > 시스템 > 전원 및 절전 에서도 실행을 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