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윈도우를 사용을 하고 계실 겁니다. 보통 포맷을 하고 윈도우를 재설치를 할때 파티션을 나누는 경우가 있는데요. 요즘에는 윈도우가 설치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티션을 나누고 있습니다.
물론 오늘은 윈도우10 파티션 나누기 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지만 이전버전에서도 똑같이 진행을 할 수 있습니다. 달라진점은 윈도우7이나 8.1 이 아닌 윈도우10 이라는점이 다르겠죠 어떤 방식으로 파티션 나누기를 진행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10 시작버튼 우측에 있는 웹 및 Windows 검색 에서 디스크 관리 를 검색을 해봅니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고 아래쪽에 설정 밑에 하드 디스크 파티션 만들기 및 포맷 이라는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클릭을 해서 들어가시거나 시작버튼 + X 를 눌러서 디스크 관리로 들어가셔도 됩니다. 편하신 방법을 선택을 해주세요 ^^
윈도우10 파티션 나누기
그럼 화면 크기나 현재 설치되어 있는 하드디스크에 따라서 보이는 모습이 달라지실 건데요. 만약 USB가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라면 USB 메모리의 볼륨도 나타나실 겁니다.
그리고 아래쪽에 디스크0, 디스크1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현재 파티션이 나누어져 있거나 파티션 나눠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하드디스크라고 보시면 되실 거 같습니다.
C 드라이브 또는 D 드라이브중 파티션을 나눌곳을 선택을 하고 마우스 우크릭을 해주세요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실텐데요. 볼륨 축소(H)를 눌러주시면 윈도우10 파티션 나누기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축소 공간 쿼리 중 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짧은 시간동안 기다려 주시면 아래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요.
원하는 용량 만큼 축소할 공간 입력을 해주세요. 바로 위에 보시면 사용할 수 있는 축소 공간 크기가 있습니다. 그보다 작게 해야 겠지요?
그리고 축소 버튼을 눌러주시면 새로운 볼륨이 생긴걸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상태에서 바로 사용을 할 수 없습니다. 새로생긴 부분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새 단순 볼륨(I) 을 눌러주세요
단순 볼륨 크기를 최대로 설정을 한 상태에서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드라이브 문자 할당을 해주시면 되는데요. 현재 설정이 되어있는데 C, D 라면 그외의 알파벳 아무거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에 포맷을 해주셔야 하는데요. 파일 시스템을 NTFS를 선택을 하시고 빠른 포맷을 실행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정상적으로 윈도우10 파티션 나누기 가 완료된 모습을 보실 수 있으실 거예요.
방식은 이전이랑 크게 달라진건 없습니다. 볼륨 축소를 하고 난 이후에 꼭 포맷까지 해야 사용을 할 수 있다는점 참고해주시면 되실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