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번조회 및 전역일자 확인방법


카테고리 없음

Written by 즐거운 생활 on 2015. 12. 4. 08:00

대한민국 남자라면 한번씩은 군대를 다녀 옵니다. 공익들도 훈련소는 가죠. 군번도 받게 되구요. 때로는 두번씩 다녀 오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저께 화려하게 컴백한 싸이가 그 예죠. 자세한 부분은 검색해서 확인을 해보시고요~


오늘은 예비역이나 민방위 대원들이 간혹 잊어먹을 수 있는 군번과 전역일자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군번조회 는 군번줄(인식표)를 찾아보셔도 되겠지만 어딨는지 모를때에는 병무청에서 간단하게 확인을 하실 수 있어요~



보통 병무청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 합니다. 하지만 2015년 11월 24일 부터 12월 7일 까지 각종 민원신청이 불가능 하다고 하네요.



만약 중지기간을 제외하시게 되면 병무청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셔서 병무민원포털 > 동원/예비군 > 동원/예비군 조회 및 벌금 > 군전역일자/군번조회 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 합니다.



다만 병무청에서 확인을 하실때에는 공인인증서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만약 공인인증서가 없고 대신 휴대전화 또는 아이핀 계정이 있으시고 육군 이시라면 확인이 가능한 대한민국 육군 홈페이지로 접속을 하시면 됩니다.



군번조회 방법


포털에서 전역자군번찾기 를 검색을 하시면 위와 같은 홈페이지를 보실 수 있으신데요.

보시다시리 잃어버린 여러분의 군번을 찾아드립니다. 라고 하네요 ^^ 잃어버린 우리의 군번을 조회 해봅시다. 참고로 여기에서는 전역일자 확인은 되지 않습니다 ㅠㅠ



본인 확인을 위해 아이핀 또는 실명인증을 통해서 이동을 해야 합니다. 한가지 특이한점은 어떠한 브라우저를 이용을 하더라도 인증서가 오래 됐다고 나옵니다. 크롬의 경우에는 접속이 불가능 하고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접속을 했을때 무시하고 계속 탐색 등으로 확인이 가능 합니다.



그리고 전역자 군번찾기로 정상적으로 들어오셨다면 84년 이전 전역하신 분은 생년월일 을 입력을 하고 85년 이후의 제대하신 분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전 2003년에 전역을 했음에도 생년월일로 조회가 가능 합니다. 

자신의 출신신분에 따라 장교, 병, 부사관, 방위병 등을 선택할 수 있는데 공익의 경우 방위병을 선택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생년월일 또는 주민번호와 함께 성명을 입력을 해주세요.



그럼 우리가 확인을 하고 싶었던 군번조회 를 할수 있게 됐습니다. 이부분은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일단은 전 일치를 합니다. 왠만하면 잘못된 일이 없을 겁니다.


만약 병무청이나 국방부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필요하시면 그렇게 하셔도 됩니다. 병적증명서 는 민원24 에서도 발급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