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치? 단위가 퍼센트 입니다. 백화점이나 아울렛 등에 가게 되면 특정 상품 20% 할인 등의 내용을 심심찮게 보실 수 있는데요. 그런것 처럼 간단하게 해당 퍼센트 일 경우에 얼마인지 그리고 통계자료를 구할때 퍼센트 (마진 등) 를 어떻게 하는지 모르실 경우가 있으실거 같아요.
오늘 간단하게 퍼센트 구하는법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간단하게 보면 1% 는 0.01 입니다. 100분의 1이 1% 인것이죠. 그럼 50%는 0.5 입니다. 100분의 50 그러니까 2분의1과 같겠죠. 9만원 하는 상품이 30% dc를 한다면 얼마일까요. 하지만 단순히 계산을 하면 실수가 나오게 됩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90,000원의 물건을 30% 할인한다면 얼마일까요. 90,000 x 0.3 하면 되겠죠? 그럼 27,000원 이라는 숫자가 나옵니다. 이것은 27000원에 살 수 있다는게 아니라 27000원을 할인 받는 다는 이야기죠.
그럼 다시 말하면 9만원이던 상품을 30% 할인을 받아서 27000원을 제외한 63,000원의 금액으로 물건을 살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어때요? 퍼센트의 기본개념은 아셨지요?
기본적인 예를 들어볼게요. 퍼센트 구하는법 은 기본적으로 나누기를 하면 된다고 보면 됩니다. 전체를 100% 라고 잡았을때 현재 진행상황이 몇% 인지를 계산 하는 것인데요.
만약 여러분께서 연회장에서 의자를 설치 하는 알바를 했다고 가정을 했을때 총 150개의 의자를 설치를 해야 하는데 현재 70개를 설치 했다고 보시게 되면 현재 갯수 / 총 갯수 를 하게 되면 됩니다.
현재 까지 설치한 의자수 70개 나누기 총 150 개를 하게 되면 0.466666 이런 숫자가 나오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퍼센트는 100분의 얼마... 라고 표시 되기 때문인데요. 해당 숫자에서 100을 곱하면 됩니다. 엑셀등을 이용을 하신다면 퍼센트(백분율) 로 변경 하면 47% 라고 나오겠죠. 현재 진행상황은 47%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방법은 간단하게 현재상황에서 총갯수를 나누는 겁니다. 애초외 100%가 정해져 있는 상태죠. 150개를 해야 하는 상황 그럼 다음 예를 한번 보도록 해볼게요.
이번엔 다른 예를 들어볼게요. 만약 위와 같은 통계 (라고 말하기 부끄럽지만 ^^;) 자료가 있다고 예를 들어볼게요.
2014년 매출이 위와 같다고 가정 합니다. 그리고 2015년 매출 역시 위와 같다고 봤을때 매출이 얼마나 성장을 했을까요. 단순히 계산을 해보면 120,300,000 원의 매출 신장을 기록 했습니다.
앞서 설명을 했던대로 계산을 하게 되면 2014년 매출 / 2015년 매출을 하면 될거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대충 해보면 92%가 나옵니다. 뭔가 잘못됐죠? 92%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다니...
이것은 2014년 매출이 기준이 되는 것입니다. 2014년 매출이 100% 이고 2015년 매출이 100%를 넘어가게 되는데 몇프로가 됐을까요?
이런 자료를 토대로 퍼센트 구하는법 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2015년 - 2014년) / 2015년 입니다.
2015년 매출에 대비해서 증가매출액이 몇프로냐... 얼마나 증가 했느냐 라는 것이죠.
그럼 8%가 나옵니다. 또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100% - (2014년 / 2015년) 입니다. 2015년에 대비해서 2014년은 92% 정도의 금액입니다. 그걸 100%에서 빼는 것이죠. 어떠한 방식으로든 퍼센트 구하는법 을 알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정보가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 엑셀을 이용하시거나 업무를 하실때 도움이 되는 정보였기만을 바랄뿐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