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모드라고 아시나요. 갑자기 컴퓨터가 꺼지거나 블루스크린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종료가 되었을때 다시 켜지면서 물어봅니다. 안전모드로 부팅을 할것이냐 아니면 표준모드로 부팅을 할것이냐.
우리는 대부분 표준모드로 그대로 부팅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해도 해결이 안되는 오류가 발생을 했을때 컴퓨터 안전모드로 부팅을 하여 잘못된 부분을 해결을 하려고 합니다. 보통 특정 파일이 삭제가 되지 않거나 관리자 권한 등의 문제로 파일 실행문제가 생겼을떄 안전모드로 접속을 하게 되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특정 오류를 해결을 한다기 보다 원할때 컴퓨터 안전모드 부팅 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안전모드로 들어가는 방법은 위와 같이 오류가 발생을 했을때 안전모드를 선택해서 접속을 하시면 되는데 특정 오류가 발생을 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안전모드로 들어갈 수 있을까요?
오늘 그 방법을 알아볼게요. 정상적으로 윈도우가 부팅이 된 상황에서 몇가지 설정을 변경을 하게 되면 특정 오류가 발생을 하지 않더라도 안전모드로 부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안전모드 부팅을 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하는데요.
컴퓨터 안전모드 부팅 하는 방법
시작 버튼을 누르시면 모든 프로그램 바로 아래쪽에 프로그램 및 파일 검색 부분이 나오게 됩니다. 이곳에다가 시스템 구성 이라고 입력을 하시면 안전모드 설정을 할 수 있는 곳이 나오게 되죠.
입력을 하셨다면 시작버튼 상단에 위와 같이 나옵니다. 시스템 구성으로 들어가 주세요.
해당 방법 말고도 어딘가로 입장하는 방법이 있었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니 요롷게 따라 하시면 되실거 같습니다.
자 그러면 시스템 구성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요 부팅 탭으로 이동을 해 주세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OS를 보여줄텐데요. 다른건 따로 손을 대실 필요는 없고 부팅 옵션 에 안전 부팅 체크를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적용을 눌러서 재부팅을 하시게 되면 컴퓨터 안전모드 부팅 이 가능하게 됩니다.
안전모드에 접속을 하신후 필요한 부분을 모두 완료를 하게 되면 같은 방법으로 부팅 옵션을 원래 대로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