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1억원어치의 수표를 주워서 주인을 찾아다준 일이 있었죠? 해당 수표는 본인이 이사를 가기 위해 가족 들에게 받아놓은 것으로 주인이 밝혀졌는데요. 찾아다준 분에게 포상금(?) 으로 최소 5백만원에서 2000만원을 주게 된다고 합니다. 어쨋든 찾아서 다행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수표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어떻게 확인을 하는지 궁금한데요. 발행한 은행 사이트로 접속을 하시면 해당 은행의 수표조회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많은 국민들이 애용하고 계산 농협 수표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물론 이곳에서 우리은행, 국민은행, 등 타행 수표조회도 가능 합니다.
자주 이용하고 계신 검색 포털에서 농협을 검색하십니다. 그리고 NH농협 인터넷뱅킹으로 접속을 하시면 됩니다.
물론 농협사이트로 이동을 하셔도 되지만 어차피 인터넷뱅킹으로 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편한 방식으로 접속을 해주시면 되세요.
정상적으로 왔다고 한다면 상단에 있는 메뉴들 중에 기업뱅킹 이라고 되어있는 곳에 마우스를 올립니다. 그리고 아래 새로운 메뉴들이 나오는데요. 조회, 이체, 대량이체 등 아래쪽에 보시게 되면 수표/어음 이라고 표시되어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농협 수표조회 방법을 확인하고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수표/어음을 선택해 주세요.
이곳에서는 농협뿐 아니라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 하나은행 수표조회 까지 가능 합니다.
그리고 이어진 페이지에 보시면 수표/어음 조회하기 라고 되어있는 부분에 조회를 원하는 어음이나 수표의 종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보통 편의점이나 슈퍼등에 거래를 하기 위해 수표가 들어온다면 거의 모두 자기앞수표 일 겁니다. 어음이나 가계수표는 즉시 현금으로 사용하는게 불가능 하기 때문이죠.
자기앞수표 조회를 눌러주세요. 어디서 발행한 수표든지 상관이 없습니다.
농협 수표조회 방법이 좋은 점은 타행에서 발행한 수표 역시 조회가 가능하다는 점인데요. 보시게 되면 수표번호와 발행점코드 그리고 수표금액, 수표권종 및 발행은행과 발행일자를 입력을 하시게 되면 해당 발행번호로 발행된 수표가 정상적으로 발행이 됐는지 혹은 분실 또는 도난 수표인지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복사가 되었다면 원본이 정상적으로 존재를 하는 경우에 발행번호가 똑같을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수표조회 를 한 이후에 우측에 있는 세개의 빈칸에서 무궁화 표시가 나오는지 불빛을 비춰보면 위조수표인지 알 수 있습니다.
타행 이든 농협이든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회 하여 위조 수표 혹은 도난, 분실 수표인지 파악을 하여 2차 피해가 없도록 유의 해야 겠습니다.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다면 공감버튼 하트를 살짝 눌러주셔도 너무 감사할거 같습니다~
한글날이 낀 연휴 가족이나 연인과 즐거운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계속 즐거운생활 이 되시길 !!